✔ 무관조건 무관조건(don't care condition) 입력변수들의 조합에 따라 함수값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 함수값이 0과 1 중 어떤 출력값으로 나와도 무관한 경우 BCD 코드 2진수 16개 조합 중 10개 조합만 사용 나머지 6개 조합(1010, 1011, 1100, 1101, 1110, 1111 : 10 ~15)은 미사용 따라서 BCD 코드를 사용하는 논리회로는 6개 조합이 발생하지 않는다는 가정하에 동작 ∴ 6개 조합과 무관하게 동작되는 논리회로가 구성 부울함수에서 무관조건의 표현 무관조건은 부울함수를 더욱 간소화하는데 사용한다. 무관조건은 X로 표시한다. : 3변수 부울함수에 대한 무관조건이다. 3개의 변수 A, B, C에 대한 2진수의 열 000, 001, 111인 경우 해당 부울함수의 ..
개발 뜯기
✔ 카르노 도표를 이용한 간소화 부울함수의 간소화 방법 1. 대수적인 방법 주어진 부울함수에 부울대수 정리를 대수적으로 적용해 간소화 도표 방법과 테이블 방법의 이론적 바탕 2. 도표 방법 카르노 도표(Karnaugh map)를 사용하는 방법 카르노 도표를 사용하여 부울함수의 각 항들을 곱이나 합 형태로 간소화 여섯 개 이하의 변수를 가진 부울함수에 사용 3. 테이블 방법 퀸-맥클러스키(Quine-Mcluskey) 방법 테이블을 사용해 간소화 알고리즘을 구현한 방법 많은 변수를 가진 부울함수에 적합 카르노 도표의 개요 카르노 도표 여러 개의 사각형으로 된 다이어그램 사각형은 각각 하나의 최소항 또는 최대항을 의미 최소항 또는 최대항들이 차지하는 도표내의 면적을 이용하여 간소화 카르노 도표는 부울함수의 입..
✔ 부울함수의 정규형 및 표준형 부울함수의 정규형 : 부울함수를 최소항(sum of minterm)의 합이나 최대항(product of maxterm)의 곱으로 표현한 것 정규형 1. 최소항과 최대항 최소항 논리곱(AND)으로 표현되는 어떤 변수의 결합 결과가 논리 1이 나오도록 하는 것 걍 m의 j값을 이진수로 바꿔서 항으로 표시하자 최대항 논리합(OR)으로 표현되는 어떤 변수의 결합 결과가 논리 0이 나오도록 하는 것 이진수로 바꿔 만든 최소항 m의 쌍대 M을 만들자 1) 최소항 각 변수의 문자 1개씩 모두 n개의 논리곱 항으로써 그 결과가 논리 - 1인 경우 mj로 표시 2) 최대항 각 변수의 문자 1개씩 모두 n개의 논리합 항으로써 그 결과가 논리 - 0인 경우 Mj로 표시 3) 진리표를 부울함수..
✔ 논리연산 논리연산의 개요 2진 디지털 시스템에서 입출력 관계를 표현하는 방법 1. 그래프나 진리표 2. 논리함수 입력에 따라 변수가 어떻게 변하는가를 나타내는 함수로 표현 입력이 2진 논리값이므로 논리함수(F = X)로 나타낸다. 논리집합과 논리연산 논리집합(부울집합) 집합이 0(거짓)과 1(참)으로만 구성된 집합 {0,1} 논리연산(부울연산) 두 개의 이산값에 적용되는 연산 논리집합{0,1}에 대한 세 가지 논리연산 AND 연산 : 점( · )으로 표시, 생략 가능 OR 연산 : 덧셈 기호(+)로 표시 NOT 연산 : 변수 위에 줄(-)을 그어 표시 ✔ 논리게이트 기본 논리게이트 1. AND 게이트 2. OR 게이트 3. NOT 게이트 NAND 게이트와 NOR 게이트 1. NAND 게이트 2. NO..
✔ rem(root em) em은 현재 font-size를 정의한다. 자식 요소는 부모의 폰트 사이즈를 상속 받아 커진다. rem은 단일 사이즈로 표현하고 싶을 경우 사용하며 최상위 요소를 기준으로 삼는다. ✔ vh(vertical height), vw(vertical width) vh, vw는 타겟 요소의 값을 뷰포트의 너비값과 높이값에 맞게 사용하는 단위이다. vh요소는 높이값의 1/100(1%) 이다. ✔ vmin, vmax vmin, vmax는 뷰포트의 너비값과 높이값에 따라 최소, 최대값을 지정할 수 있다. 브라우저의 크기가 1280 x 700 이라면 1vmin은 7px, 1vmax는 12px이 된다. ✔ ex, ch ex, ch는 현재 폰트 사이즈에 의존한다. em, rem과 다른 점은 두 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