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8. Collection(1) 1) 자바스크립트가 제공하는 Collection 구조 혹은 비구조화 형태로 프로그래밍 언어가 제공하는 값을 담을 수 있는 공간 Indexed Collection: Array, Typed Array Keyed Collection: Object, Map, Weak Map, Set, Weak Set 2) Map 다양한 자료형의 key를 허용하고 key-value 형태의 자료형을 저장 할 수 있는 Collection Map은 Object 대비 다양한 key의 사용을 허용 값의 추가, 삭제 시 메서드를 통해 수행이 필요 property & method 생성자: new Map() 개수 확인: Map.size 요소 추가: Map.set() 요소 접근: Map.get() 요소 삭제: Ma..
7. 고차함수와 생성자 1) 고차함수 ✔ 고차함수 하나 이상의 함수를 매개변수로 취하거나 함수를 결과로 반환하는 함수 매개변수로 전달되는 함수: 콜백 함수 대표 배열 조작 method 임의 정렬: Array.sort(callback function) 반복 작업: Array.forEach() 콜백함수 결과 배열 반환: Array.map() 조건을 만족하는 하나의 값 반환: Array.find() 조건을 만족하는 값 배열로 반환: Array.filter() 누적 결과 반환: Array.reduce() ✔ 고차함수: sort() 🤯 sort()의 문제와 한계점 문제: 일의 자리 4가 10의 자리보다 뒤에 정렬됨 원인: 정렬 될 때 배열의 요소가 일시적으로 문자열로 변경되어 발생 한계점: 대소문자 구분없이 정렬..
6. Array(배열) 1) Array ✔ 배열(array) 여러 개체(Entity)값을 순차적으로 나열한 자료 구조 배열 내 값을 요소(element)라고 하며, 배열 요소는 index로 접근 대표 속성과 메서드 배열 크기 및 여부 확인: Array.length, Array.isArray() 배열 추가 및 삭제: Array.push(), Array.pop(), Array.shift(), Array.unshift(), Array.splice(), Array.slice() 등 배열 탐색: Array.indexOf(), Array.lastIndexOf(), Array.includes() 2) 배열 기본 메서드 ✔ 배열 선언, 접근, 속성 선언: "new Array()" 혹은 "[]"을 통해 선언, 사이즈 혹..
5. 숫자와 문자 1) Number ✔ Number 자바스크립트엣 일반적인 숫자는 64비트 형식의 IEEE-754 표준 기반 형태로 저장되는 자료형 10진수 외 16, 2, 8진수 등 다양한 진수 사용 16진수(Hexadecimal): 0xFF 8진수(Octal): 0o71 2진수(Binary): 0b1101 대표 상수값 [MAX|MIN]_VALUE, [MAX|MIN]_SAFE_INTEGER, [POSITIVE|NEGATIVE]_INFINITY, NaN 대표 메서드 문자열로 변환: Number.toString() 특정 자리수까지 제한하여 표현: Number.toFixed(), Number.toPrecision() 타입 확인: Number.isNaN(), Number.isFinite() ✔ 지수 / 진법 ..
4. 함수와 메서드 1) 함수 ✔ 함수란? 다수의 명령문을 코드 블록으로 감싸고 하나의 실행 단위로 만든 코드의 집합 유사한 동작을 하는 코드를 하나로 묶어 범용성을 확대 시킨 블록 코드 정의 부분, 호출 부분으로 구성 가급적 한 가지 일만 하며 매개 변수는 최대 3개 이내로 작성을 권장 function add(x, y ) { return x + y; // 반환 결과 } add (10, 20); // 인자(argument) : 매개변수(parameter)에 대입 ✔ 함수 정의 함수 선언식 function add(x, y) { return x + y; } 함수 표현식 const add = function (x, y) { return x + y; }; 화살표 함수 // ES6 const add = (x, y..
3. 조건문과 반복문 1) Scope ✔ Scope란? 변수 혹은 상수에 접근할 수 있는 범위 모듈, 함수 내 코드에서 동일한 변수 사용 시 간섭을 줄이는 용도로 사용 Scope는 Global Scope(전역 변수)와 Local Scope(지역 변수)로 구분 Global Scope : 전역에 선언되어 어디에서도 접근 가능 Local Scope?(block, function level scope) : 특정 지역에 선언되어, 해당 지역 내에서만 접근 가능 2) 조건문 ✔ 조건문 : if-else 알고리즘에서 논리적 비교를 할 때 사용되는 조건식 if, if else, else 키워드를 통해 구성됨 조건식에 맞을 경우 중괄호 {} 내에 있는 명령문을 수행 단, 실행 문장이 단일문장 인 경우 {} 생략 가능 c..